NU40 DK, 환경설정
NU40 DK(nRF52840)
누코드 회사에서 NU40 DK를 인수받았다. 처음 setting부터 정리를 해놓아야지 추후 개발에 있어서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정리한다.
환경 세팅
먼저, 필수 SW를 설치한다.
1. nRF Connect for Desktop
https://www.nordicsemi.com/Products/Development-tools/nRF-Connect-for-Desktop/Download#infotabs
2. nRF Commannd Lin Tools
https://www.nordicsemi.com/Products/Development-tools/nRF-Command-Line-Tools/Download
3. vs code(나는 Cursor로 진행했다.)
4. J-link
J-link 정품은 엄청 비싸다고한다, 짭으로도 충분히 돌릴 수 있다고 하므로 쿠팡에서 10만원 정도하는 J-link v9+ 짜리를 준비
5. 프로그래밍 핀
NU40 DK의 좌측하단에 조그만한 구멍들이 있는데, 여기에 프로그래밍 핀을 이용하면 직납땜 할필요 없이 쉽게 부트로더를 올리거나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.
NU40 DK에 맞는 상세 스펙은 1.27/2.0/2.54mm 이다.
부트로더 올리기
이제 프로그래밍 핀을 알맞게 보드와 연결해준다음, J-link와 프로그래밍 핀의 점퍼선을 제대로 연결해주어야 한다.
보드의 C타입이 위로가도록 놓게되면 좌측 하단에 조그만한 구멍 5개가 있다. 여기에 프로그래밍핀을 끼워주고, J-link에도 사진과 맞게 설정해주면 된다.
e.g) 맨위의 pin이 RST(Reset) 핀이니까, J-link의 좌측하단에서 3번째에 연결
위 hex 파일을 다운로드해놓고
nRF Connect for Desktop 을 실행,
처음 뜨는 APPS 목록 중에서 ‘Programmer’ 를 install 해준다.
그리고 Programmer 클릭해서 열어준 다음
SELECT DEVICE에서 보드를 선택해주고, 좌측에 Add file 버튼을 눌러서 다운받은 hex 파일을 선택해준다.
그리고 Erase & Write 버튼을 눌러주면 부트로더 올리기는 끝이다. 정상적으로 부트로더가 올라가게되면 LED1,2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.
Leave a comment